카페에서 바리스타가 “이 커피는 바디감이 좋고 애프터테이스트가 깁니다”라고 설명하는데,
무슨 뜻인지 감이 잘 안 오셨던 적 있으시죠?
커피를 제대로 즐기고 싶다면, 향미(Flavor) 표현에 익숙해지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.
이번 글에서는 바리스타들이 자주 사용하는 커피 향미 표현 용어 10가지를
쉽고 예시와 함께 정리해 드립니다.
✅ 왜 향미 표현이 중요할까요?
커피는 단순히 “쓴 음료”가 아닙니다.
산미, 단맛, 쌉쌀함, 과일향, 꽃향기, 견과류 향 등
복합적인 맛이 존재하는 매우 섬세한 음료입니다.
향미 용어를 알면,
- 내가 좋아하는 커피를 정확히 찾을 수 있고
- 누군가에게 커피를 추천할 때도 더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어요.
☕ 커피 향미 용어 10가지 정리
1. 아로마 (Aroma)
- 향긋한 냄새, 향기의 총칭
- 원두 갈았을 때 / 추출 직후에 나는 향
예) “예가체프는 재스민 같은 플로럴 아로마가 특징입니다.”
2. 플레이버 (Flavor)
- 향과 맛을 합친 종합적인 인상
- 입안에서 느끼는 전체적인 풍미
예) “이 커피는 초콜릿 플레이버가 강하게 느껴져요.”
3. 산미 (Acidity)
- 신맛이 아닌, 과일 같은 밝고 상큼한 느낌
- 좋은 커피일수록 균형 잡힌 산미를 가짐
예) “케냐 AA는 와인 같은 산미가 인상적이에요.”
4. 단맛 (Sweetness)
- 설탕 같은 단맛이 아닌, 자연스러운 당도
- 높은 품질의 원두일수록 은은한 단맛이 납니다.
예) “콜롬비아 수프리모는 고소한 단맛이 좋아요.”
5. 쓴맛 (Bitterness)
- 초콜릿이나 다크 카카오 같은 쌉쌀함
- 로스팅 강도가 높을수록 쓴맛이 증가
예) “다크 로스트 블렌드는 진한 쓴맛이 매력이죠.”
6. 바디 (Body)
- 입안에서 느껴지는 무게감, 질감
- 가볍고 산뜻한 커피부터, 묵직하고 진한 커피까지 다양
예) “인도네시아 만델링은 바디감이 아주 풍부합니다.”
7. 애프터테이스트 (Aftertaste)
- 커피를 삼킨 후 입 안에 남는 여운
- 긴 여운일수록 품질이 좋다는 평가를 받습니다.
예) “이 원두는 애프터가 길고 고소해서 만족스러워요.”
8. 클린컵 (Clean Cup)
-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맛
- 드립커피나 싱글 오리진에서 중요하게 평가됨
예) “코스타리카 따라주는 정말 클린컵이 좋은 커피예요.”
9. 복합성 (Complexity)
- 다양한 향미가 층을 이루며 느껴지는 정도
-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맛의 깊이
예) “이 원두는 복합성이 뛰어나고 마실수록 새로운 향이 납니다.”
10. 균형감 (Balance)
- 산미, 단맛, 쓴맛 등이 고르게 어우러진 정도
- 초보자도 편하게 마시기 좋은 커피에 자주 쓰임
예) “블렌드 커피는 일반적으로 균형감이 뛰어나요.”
🎯 이렇게 써보세요!
표현 상황실제 문장 예시
향기 표현 | “갈자마자 퍼지는 아로마가 고급스러워요.” |
산미 설명 | “상큼한 산미가 입안에서 팡팡 터져요.” |
바디감 | “한 모금 마셨는데 무게감이 진짜 꽉 찹니다.” |
애프터테이스트 | “마시고 나서도 향이 입 안에 오래 남네요.” |
📝 마무리하며
커피는 “쓴 음료”가 아닙니다.
표현하는 만큼 더 깊게 느껴지고, 알아가는 만큼 더 좋아지죠.
오늘 소개한 향미 용어들을 하나씩 익히며
당신만의 커피 언어를 만들어보세요.
이제 카페에서 “이 커피 바디감 좋네요” 한마디, 멋지게 할 수 있겠죠? ☕😎